Health information
피임을 하지 않고 1년 이상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하여도 임신이 안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피임을 하지 않고 부부관계를 유지할 경우 1년 내에 85%의 부부가 임신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1년 동안 임신이 되지 않는 15%정도에 해당하는 부부가 난임에 해당하며 난임상담을 받아 보실것을 권합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난임의 치료효과는 떨어지기 때문에 만 35세 이상에서는 6개월동안 부부생활에도 임신이 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난임의 원인이 대부분 여성의 문제라고 오해되고 있는데 실제로는 여성과 남성 측의 원인이 각각 40% 정도로 비슷합니다. 나머지는 원인 불명이며 여성과 남성 모두에 이상이 있는 경우도 10%정도 있습니다. 여성측 원인으로는 배란과 난관문제가 많고 남성 측 원인으로는 희소정자증, 정자운동성 감소증, 정자형태 이상, 무정자증 등이 있습니다.
남성 측 요인
여성 측 요인
부부공동
원인불명
난임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아래와 같은 검사들이 있습니다.
혈액검사로 생리3일째 되는 날 시행합니다. 난소기능을 알 수 있고 생리주기와 배란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갑상선자극호르몬(TSH)과 유즙분비호르몬(Prolactin), 난소나이검사(AMH), 황체형성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여성호르몬(Estradiol)이 있습니다.
자궁과 난소의 형태적 이상을 확인하고 난포의 성장, 자궁내막의 상태 및 배란시기 등을 알수 있습니다.
생리가 완전히 끝나고 2~5일 후 시행하며 자궁강내로 조영제을 주입하면서 엑스레이 촬영을 합니다. 자궁강의 모양과 양쪽 난관의 개통성 여부를 확인합니다.
2-5일간의 금욕 후 정액을 채취하여 정자의 숫자, 운동성, 모양을 검사하여 임신가능여부를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 그 외에 기본검사는 아니지만 진단이나 치료목적의 자궁경 검사나 복강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부부 모두 특별한 원인이 없고
난임 기간도 길지 않은 경우
배란 시기 즉, 임신이 가능한 시기를 예측하여
그 시기에 부부 관계를 가짐으로써
임신을 시도하는 방법입니다.
배란장애가 있어서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경우가 대상이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 임신이 안되는 분들도 대상입니다.
먹는 약(배란유도제)이나 주사를 맞고
배란 시기를 잡아드리며 그 시기에 부부관계를 가짐으로써
임신을 시도 하는 방법입니다.
배란일에 맞추어 운동성이 좋은 정자를
자궁내로 주입하는 시술로 정자가 나팔관을
이동해서 난자와 만나 수정되고
착상되는 과정은
자연임신과 똑같습니다.
난자와 정자를 각각 채취하여
체외에서 수정시켜 배아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아를 2~5일간 배양 후
자궁 내로 넣어주는 방법입니다.